맨위로가기

Z3 (컴퓨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Z3는 콘라트 추제가 1941년에 완성한 릴레이 기반의 컴퓨터이다. Z1과 Z2보다 빠르고 신뢰성이 향상되었으며, 부동 소수점 연산과 제곱근 계산 기능을 갖췄다. 프로그램은 천공 테이프에 저장되었고, 22비트 부동 소수점 연산을 수행하며, 덧셈 0.8초, 곱셈 3초의 평균 계산 속도를 보였다. Z3는 튜링 완전성을 갖추고 있으며, 1997년과 2010년에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기계 컴퓨터 - Z2 (컴퓨터)
    Z2는 1939년에 개발된 기계식 릴레이 기반 컴퓨터로, 5Hz의 동작 속도와 16비트 고정소수점 방식의 산술 연산 체계를 갖췄으며, 600개의 릴레이와 64 워드의 저장 용량을 가진 300kg 무게의 컴퓨터이다.
  • 전기기계 컴퓨터 - 봄브
    봄베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에니그마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개발된 전기 기계 장치이며, 에니그마 기계의 설정을 찾아 독일군 메시지를 해독하는 데 사용되었다.
  • 1940년대 컴퓨터 - 모니악
    모니악은 빌 필립스가 개발한 아날로그 컴퓨터로,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경제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경제 변수 간의 관계 및 정책 효과를 보여주며, 경제학 교육과 연구에 활용되었다.
  • 1940년대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독특한 컴퓨터 - 클로드 섀넌
    클로드 섀넌은 정보 이론의 창시자이자 디지털 회로 설계의 선구자로, 정보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정보 이론을 개척하고 디지털 회로 설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암호학, 인공지능, 컴퓨터 체스 연구에도 기여하여 현대 디지털 시대의 기반을 구축했다.
  • 독특한 컴퓨터 - 해석기관
    해석기관은 19세기 찰스 배비지가 설계한 기계식 범용 컴퓨터로, 천공 카드, 증기 기관, 십진법을 사용하며 튜링 완전성을 갖춘 것으로 여겨지지만,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배비지 생전에는 완성되지 못했다.
Z3 (컴퓨터)
개요
뮌헨 [[국립 독일 박물관]]에 전시된 추제 Z3 모형
뮌헨 국립 독일 박물관에 전시된 추제 Z3 모형
별칭V3 (Versuchsmodell 3, 시험 모델 3)
종류프로그래밍 가능, 완전 자동 디지털 전기 기계식 컴퓨터
개발자콘라트 추제
제조사해당사항 없음
발표일1941년 5월 12일
단종해당사항 없음
가격
전력 소비약 4,000 와트
CPU2,600개의 릴레이
CPU 속도5–10 Hz
메모리22비트 길이의 64 단어
저장 매체천공 셀룰로이드 테이프
디스플레이결과를 보여주는 램프 열
입력 장치터미널, 특수 키보드
무게
선행 모델Z2
후속 모델Z4
기능
기능 설명복잡한 행렬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선형 방정식 시스템과 그 결정, 이차 방정식, 고유값(날개 떨림용)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기타
언어독일어

2. 설계 및 개발

콘라트 추제는 초기 기계식 컴퓨터 Z1의 불안정성을 경험한 후, 헬무트 슈라이어의 전자식 컴퓨터 제안이 현실적인 어려움에 부딪히자 릴레이를 이용한 컴퓨터 개발로 방향을 전환했다. 쿠르트 판케의 재정 지원으로 개발된 Z2의 성공적인 시연은 Deutsche Versuchsanstalt für Luftfahrt|독일 항공 연구소de(DVL)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Z3 개발로 이어졌다.

Z3는 Z2를 개선하여 1941년 나치 독일 정부의 극비 프로젝트로 완성되었으며,[5] 독일 항공성의 요제프 예니센과 헤르베르트 A. 바그너 등이 관여했다. Z3는 이전 모델보다 향상된 속도와 신뢰성, 개선된 부동소수점 연산 및 제곱근 계산 기능을 갖추었고, 외부 천공 테이프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구동했으나 조건부 분기 기능은 없었다. Z3는 1941년 5월 12일 DVL에서 공개되었으며,[8] 이후 추제는 Z4 개발을 진행했다.

2. 1. 초기 개발

Z3, Z5, Z11에 포함된 전자석 메모리(릴레이)


콘라트 추제는 1935년부터 1936년까지 Z1을 설계하고,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제작했다. Z1은 완전히 기계식이었으며 한 번에 몇 분 정도만 작동할 수 있는 불안정한 기계였다. 당시 베를린 공과대학교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헬무트 슈라이어는 추제에게 다른 기술을 사용할 것을 권했다. 슈라이어는 1937년에 진공관을 기반으로 부울 연산과 플립플롭을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했으며, 1938년에는 이러한 회로를 시연하며 전자 계산 기계의 가능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당시 기술 수준으로는 수많은 진공관이 필요한 전자 컴퓨터를 실제로 구현하기 어렵다고 여겨졌다. 추제와 슈라이어가 2,000개의 진공관을 사용하는 컴퓨터 계획을 발표했을 때, 베를린 공과대학교 통신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추제는 훗날 "1939년에 우리가 전자 기계를 만들고 싶다고 했을 때 그들은 우리를 비웃었다... 우리는 전자 기계가 훌륭하지만 먼저 구성 요소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회상했다. 1940년, 추제와 슈라이어는 최고사령부 (OKW)에 전자 컴퓨터 개발 프로젝트를 제안했지만, 개발에 2~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자 제안은 거부되었다.

결국 추제는 릴레이를 기반으로 다음 컴퓨터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소형 계산기 제조 업체 사장 쿠르트 판케의 재정 지원을 받아 Z2 개발이 시작되었다. Z2는 1940년에 완성되어 베를린-아들러스호프에 있는 Deutsche Versuchsanstalt für Luftfahrt|독일 항공 연구소de (DVL) 관계자들 앞에서 시연되었다. 운 좋게도 시연 당시 Z2가 성공적으로 작동했고, 이를 계기로 DVL은 추제의 다음 컴퓨터 개발을 일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주제의 1941년 특허에서 가져온 Z3 컴퓨터 도면


1941년, 추제는 Z2를 개선하여 Z3를 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독일 정부의 극비 과제로 진행되었다. 제국 공군부(''Reichsluftfahrtministerium'') 소속으로 "연구-지도력"(''Forschungsführung'')의 일원이었던 요제프 예니센(Joseph Jennissen, 1905–1977)이 정부를 대표하여 추제의 회사 ''ZUSE Apparatebau''에 대한 공군부의 지원을 감독했다. 공기역학자 헤르베르트 A. 바그너 역시 추제와 제국 공군부 사이의 연락책 역할을 했다.

Z3는 1941년에 완성되었으며, Z1과 Z2보다 빠르고 훨씬 신뢰성이 높았다. Z3는 부동소수점 연산 기능을 개선하여 양의 무한대, 음의 무한대, 정의되지 않음과 같은 예외적인 값을 처리할 수 있었고, 제곱근 계산 명령어도 추가되었다.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은 외부 펀치 테이프에 저장되어 프로그램을 변경하기 위해 배선을 바꿀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 흐름을 바꾸는 조건부 분기 기능은 없었다.

1941년 5월 12일, Z3는 베를린의 Deutsche Versuchsanstalt für Luftfahrt|독일 항공 연구소de에서 알프레드 타히만(Alfred Teichmann) 교수와 쿠르트 슈미덴(Curt Schmieden) 교수를 비롯한 과학자들에게 공개되었다. DVL은 오늘날 쾰른에 있는 독일 항공우주 센터(DLR)의 전신이다.

2. 2. Z2 개발과 DVL 지원

주제릴레이를 기반으로 다음 설계를 구현하기로 결정했다. Z2의 개발은 소형 계산기 제조자인 쿠르트 판케의 재정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Z2는 1940년에 완성되어 베를린-아들러스호프에서 Deutsche Versuchsanstalt für Luftfahrt|독일 항공 연구소de(DVL) 관계자들 앞에서 시연되었다. 운 좋게도 이 시연은 Z2가 실제로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준 몇 안 되는 기회 중 하나였으며, 이를 통해 주제는 DVL로부터 다음 컴퓨터(Z3) 개발을 위한 부분적인 재정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2. 3. Z3 완성 및 공개



콘라트 추제Z1 개발 이후, 릴레이를 기반으로 한 다음 컴퓨터 설계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소형 계산기 제조 업체 사장 쿠르트 판케(Kurt Pannke)의 재정 지원을 받아 Z2를 개발했으며, 1939년에 완성했다.[4] Z2는 1940년 베를린-아들러스호프에 있는 Deutsche Versuchsanstalt für Luftfahrt|도이체 페어주흐스안슈탈트 퓌어 루프트파르트deu("독일 항공 연구소", DVL) 관계자들 앞에서 시연되었다. Z2는 불안정하여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지만, 시연은 성공적이었고, 이는 DVL이 추제의 다음 설계인 Z3 개발을 일부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4]

1941년, 추제는 Z2를 개선하여 Z3를 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나치 독일 정부의 극비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5] 독일 항공성(RLM) 소속의 요제프 예니센(Joseph Jennissen, 1905–1977)은 항공성의 "연구-지도력"(Forschungsführung|포어슝스퓌룽deu)의 일원으로, 추제의 회사인 ''추제 아파라테바우''(ZUSE Apparatebaudeu)에 대한 항공성의 발주를 감독하는 정부 측 책임자 역할을 했다.[6] 추제와 항공성 사이의 또 다른 중개자는 항공 역학 전문가 헤르베르트 A. 바그너(Herbert A. Wagner)였다.[7]

Z3는 1941년에 완성되었으며, 이전 모델인 Z1과 Z2보다 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훨씬 향상되었다. Z3는 부동소수점 연산 기능을 개선하여, 일반적인 수치 외에도 양의 무한대, 음의 무한대, 정의되지 않음과 같은 예외적인 값을 처리하고 연산을 통해 전달할 수 있었다. 이는 "단지 몇 개의 릴레이"만으로 구현되었으며, 현대의 부동소수점 시스템과 유사한 선구적인 개념이었다. 또한 제곱근 계산 명령어가 추가되었다. Z3는 이전 모델들처럼 프로그램을 외부 천공 테이프에 저장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변경하기 위해 배선을 다시 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이후의 범용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조건부 분기 기능은 없었다.

1941년 5월 12일, Z3는 베를린에 있는 Deutsche Versuchsanstalt für Luftfahrt|도이체 페어주흐스안슈탈트 퓌어 루프트파르트deu에서 알프레드 타히만(Alfred Teichmann) 교수와 쿠르트 슈미덴(Curt Schmieden) 교수를 포함한 과학자들에게 공개되었다.[8] 이 연구소는 오늘날 쾰른에 있는 독일 항공우주 센터(DLR)의 전신이다.

3. 기술적 특징

Z3의 성공은 약 3세기 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고안하고 이후 조지 불불 대수를 만드는 데 사용한 이진수 시스템을 채택한 덕분이라고 평가받는다. 1937년 MIT클로드 섀넌불 대수를 릴레이를 사용한 디지털 회로로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했는데[9], 추제는 이러한 개념들을 통합하여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는 Z3를 만들었다.[10] Z3는 1941년, 이전 모델인 Z1Z2보다 빠르고 신뢰성 높게 완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부동소수점 처리 능력이 개선되었고, 프로그램은 외부 테이프에 저장되어 배선 변경 없이 수정이 가능했다. 이 프로젝트는 독일 정부에 의해 극비로 취급되었으며[5], 독일 항공성의 지원을 받았다.[6][7] 1941년 5월 12일, 알프레드 타이히만(Alfred Teichmann)과 쿠르트 슈미덴(Curt Schmieden) 등 과학자들 앞에서 공개되었다.[8]

Z3는 릴레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반면, 비슷한 시기 또는 이후에 등장한 다른 초기 컴퓨터들과는 기술적인 차이가 있었다. 영국의 암호 해독기 콜로서스 (1943)[12]미국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1942)는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이진수로 숫자를 표현했다. 하지만 이들은 플러그 보드 배선 변경이나 스위치 설정으로 프로그래밍하여, 현대적인 의미의 프로그램 가능 컴퓨터로 보기는 어렵다. Z3보다 4년 뒤에 완성된 ENIAC 역시 진공관을 사용했고, Z3와 달리 십진수를 사용했다. 또한 1948년까지 ENIAC은 배선을 변경하여 프로그래밍했지만, Z3는 외부 테이프에서 프로그램을 읽어 들였다.

Z3는 프로그램을 외부에 저장했지만, 프로그램 내장 방식은 아니었다. 존 폰 노이만1945년의 논문에서 제시한 폰 노이만 구조를 따른 최초의 컴퓨터는 1948년맨체스터 베이비 또는 1949년의 EDSAC으로 여겨진다. 다만 프로그램 내장 방식의 개념 자체는 추제가 1936년에 신청했으나 성립되지 않은 특허 출원서에서 이미 언급된 바 있다.

3. 1. 부동소수점 연산

Z3는 이전 모델인 Z1 (컴퓨터)에 비해 부동소수점 처리 방식이 개선되었다. 일반적인 숫자 외에도 양의 무한대, 음의 무한대, 그리고 정의되지 않음(미정)과 같은 예외적인 값들을 처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값들은 연산 결과로 생성될 수 있었고, 이후의 연산 과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현대 컴퓨터 시스템에서 부동소수점 예외 처리를 다루는 방식과 유사한 개념을 구현한 것으로, 선구적인 시도로 평가받는다.

3. 2. 프로그램 저장 방식

Z3는 프로그램을 외부 테이프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 덕분에 프로그램을 변경할 때마다 내부 배선을 수정할 필요가 없었다.

3. 3. 명령어 집합

Z3는 R1과 R2라는 두 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하는 스택 머신 방식으로 작동했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첫 번째 '로드' 명령어는 특정 메모리 위치의 데이터를 R1 레지스터로 가져왔고, 다음 '로드' 명령어는 다른 메모리 위치의 데이터를 R2 레지스터로 가져왔다. '산술 연산' 명령어는 R1과 R2 레지스터에 있는 값들을 계산했으며, 그 결과는 R1에 저장되고 R2는 비워졌다. 산술 연산 후 다음 '로드' 명령어는 데이터를 R2로 가져왔다. '저장' 명령어는 R1 레지스터의 내용을 특정 메모리 위치에 저장하고 R1을 비웠으며, 저장 연산 후 다음 '로드' 명령어는 데이터를 R1로 가져왔다.

'키보드 읽기' 명령어는 키보드로 입력된 숫자를 R1에 저장하고 R2를 비웠다. '표시' 명령어는 R1 레지스터의 내용을 화면 등에 보여주고 R2를 비웠으며, 표시 연산 후 다음 '로드' 명령어는 데이터를 R2로 가져왔다.

4. 튜링 완전성

Z3는 조건 분기 명령 없이 루프 구성만 가능했지만, 이론적으로는 튜링 완전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1998년 라울 로하스는 Z3로 범용 튜링 기계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13][14] 그는 프로그램 테이프를 충분히 길게 만들어 모든 가능한 계산 경로를 미리 실행하고, 나중에 불필요한 결과를 걸러내는 방식으로 튜링 완전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종의 추측 실행과 유사한 방식이다.

로하스는 Z3의 주소 공간이 튜링 기계의 무한 테이프 역할을 할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고[15], Z3의 프로그램 테이프를 이용해 튜링 기계의 헤드를 제어하는 유한 오토마타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증명했다.[16] 즉, 모든 가능한 상태 변화를 테이프에 기록하고 이를 반복 실행하면서, Z3의 명령 조합을 통해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연산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17]

로하스는 "추상적인 이론적 관점에서 Z3의 컴퓨팅 모델은 오늘날 컴퓨터와 동일하지만, 실용적인 관점과 실제 프로그래밍 방식에서는 현대 컴퓨터와 같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실제로 Z3는 콘라트 추제가 토목 기사로서 겪는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1940년대의 공학적 응용에 필요한 실용적인 명령어 집합을 갖추고 있었다.

5. 다른 컴퓨터와의 관계

Z3는 현대 컴퓨터의 여러 특징을 선구적으로 구현했지만, 동시대 및 이후 등장한 다른 초기 컴퓨터들과는 기술적인 차이점을 보인다.

Z3는 릴레이를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이진법 연산을 수행했으며, 프로그램은 외부의 천공 테이프를 통해 공급되었다.[10] 이는 이후 등장한 여러 컴퓨터들과 비교된다. 예를 들어, 미국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ABC, 1942년)와 영국의 암호 해독용 컴퓨터 콜로서스 (1943년)는 Z3와 마찬가지로 이진법을 사용했지만, 부품으로는 진공관을 사용했다.[12] 이들 컴퓨터의 프로그래밍은 주로 물리적인 배선 변경이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이루어졌다.

미국에서 Z3보다 4년 늦게 완성된 ENIAC (1946년) 역시 진공관을 사용했지만, Z3와 달리 십진법으로 연산을 수행했다. 초기 ENIAC의 프로그래밍 방식도 콜로서스와 유사하게 배선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었으나, Z3는 외부 테이프에서 프로그램을 읽어 들였다.

프로그램을 컴퓨터 내부에 저장하는 프로그램 내장 방식은 Z3 이후에 구현되었다. 1948년맨체스터 베이비1949년맨체스터 마크 1, EDSAC 등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동일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컴퓨터들로 여겨진다. 이는 흔히 존 폰 노이만의 이름을 딴 폰 노이만 구조로 알려져 있는데, 이 개념은 1945년 논문에서 제시되었지만, 폰 노이만은 앨런 튜링의 기여를 인정했다고 전해진다. 프로그램 내장 개념 자체는 추제가 1936년 특허 출원(거부됨)에서 이미 제시한 바 있다. 추제 자신은 전쟁 중 기술적 한계로 이를 구현하기 어려웠다고 회고했다.

한편, 추제의 동료였던 헬무트 슈라이어는 1942년에 약 100개의 진공관을 이용한 실험적인 전자 컴퓨터 모델을 만들었으나 전쟁 중 소실되었고,[11] 나치 독일의 페네뮌데 육군 연구 센터에서는 헬무트 홀처가 V-2 로켓 궤도 계산을 위한 아날로그 컴퓨터를 제작하기도 했다.

5. 1. 이진법 사용

Z3의 성공은 단순한 이진법 시스템을 사용한 덕분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 방식은 약 3세기 전에 라이프니츠가 발명했으며, 이후 조지 불이 이를 사용하여 자신의 불 대수를 개발했다. 추제힐베르트아커만의 기본 수학 논리에 관한 책 ''수리 논리의 원리''에서 영감을 받았다. 1937년, 클로드 섀넌MIT에서 불 대수를 전자 릴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회로 설계에 적용하는 획기적인 연구(A Symbolic Analysis of Relay and Switching Circuits)를 발표했다.[9] 하지만 추제는 섀넌의 연구를 알지 못했고, 1935년부터 1938년까지 설계하고 제작한 그의 첫 번째 컴퓨터 Z1을 위해 독자적으로 이진법 기반 설계를 개발했다.[10]

추제의 동료 헬무트 슈라이어는 1942년에 약 100개의 진공관을 사용하여 컴퓨터의 전자 디지털 실험 모델을 제작했지만, 이 모델은 전쟁 말기에 분실되었다.[11]

다른 초기 컴퓨터들도 이진법을 활용했다. 토미 플라워스가 제작한 영국의 암호 해독기 콜로서스 (1943년)[12]미국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ABC, 1942년)는 모두 진공관과 숫자의 이진 표현을 사용했다. 이 컴퓨터들의 프로그래밍은 주로 패치 패널의 배선을 변경하거나 스위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반면, 전쟁 후에 완성된 미국의 ENIAC 컴퓨터는 Z3보다 4년 늦게 개발되었으며, 진공관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구현했지만 숫자는 십진법 표현을 사용했다. 1948년까지 ENIAC의 프로그래밍 방식 역시 콜로서스처럼 패치 리드와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Z3는 이들과 달리 외부의 천공 테이프에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했다.

5. 2. 프로그램 저장 방식 비교

Z3는 프로그램을 외부에 있는 천공 테이프(셀룰로이드 재질)에서 읽어들여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했다.[10] 이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내부에 저장되지 않고 외부 매체를 통해 공급되는 방식이었다.

반면, 영국에서 개발된 콜로서스 (1943년)와 미국의 ENIAC (Z3보다 4년 뒤 완성)은 초기에는 다른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처리했다. 이 컴퓨터들은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프로그래밍을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전선을 연결하는 패치 패널을 재배선하거나 여러 개의 스위치를 직접 설정해야 했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을 변경할 때마다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ENIAC은 1948년까지 이러한 프로그래밍 방식을 사용했다.

이후 등장한 컴퓨터들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의 동일한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1948년맨체스터 베이비1949년맨체스터 마크 1 및 EDSAC는 이러한 내부 프로그램 저장 방식을 구현한 세계 최초의 작동 컴퓨터들이었다. 이 구조는 흔히 존 폰 노이만의 이름을 따 폰 노이만 구조라고 불리는데, 이는 1945년 논문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폰 노이만 자신은 이 개념에 대한 앨런 튜링의 기여를 인정했다고 전해지며, 프로그램 내장 개념 자체는 콘라트 추제가 이미 1936년에 특허 출원(거부됨)을 통해 제시한 바 있다. 추제는 회고록에서 "전쟁 중에는 효율적인 저장 프로그램 장치를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술회했다.

5. 3. 폰 노이만 구조와의 관계

Z3는 외부에 있는 천공 테이프에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동일한 저장 공간에 두는 현대적인 폰 노이만 구조와는 차이가 있다.

폰 노이만 구조는 1945년 존 폰 노이만과 동료들이 작성한 EDVAC 보고서 초안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보고서에서 폰 노이만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 아이디어의 공로를 앨런 튜링에게 돌렸다고 전해진다.

프로그램 저장에 대한 개념은 콘라트 추제 자신이 1936년 특허 출원(비록 거부되었지만)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추제는 훗날 회고록에서 "전쟁 중에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저장 장치를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컴퓨터 과학자 프리드리히 L. 바우어는 추제의 선구적인 아이디어가 "올바른 실용적 방향을 제시했지만, 그가 직접 구현하지는 못했다"고 평가했다.

폰 노이만 구조를 실제로 구현하여 작동한 최초의 컴퓨터들로는 1948년맨체스터 베이비1949년맨체스터 마크 1 및 EDSAC가 꼽힌다.

Z3 이후 등장한 초기 컴퓨터들과 비교하면, 영국의 콜로서스(1943)와 미국의 에니악(1946)은 진공관을 사용했지만, 프로그래밍은 주로 전선을 다시 연결하거나 스위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에니악은 십진법을 사용했지만, Z3는 이진법으로 계산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6. 상세 사양

wikitext

항목사양
평균 계산 속도덧셈: 0.8초, 곱셈: 3초
연산 장치22비트 이진 부동 소수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제곱근 연산 가능
데이터 메모리64 워드 × 22 비트
프로그램 메모리천공 셀룰로이드 테이프
입력10진 부동 소수점 숫자
출력10진 부동 소수점 숫자
입출력 방식특수한 키보드(입력)와 결과 표시용 램프를 갖춘 단말기[4]
사용 부품약 2,000개의 릴레이 (그 중 1,400개는 데이터 메모리용)[4]
동작 주파수5.3 Hz
소비 전력약 4000W
무게약 1000kg


7. 현대적 복원

라울 로하스와 호르스트 추세가 주도하여 1997년에 시작해 2003년에 완성한 현대적인 복원품이 있다. 이 복원품은 메모리가 32 단어로 원본의 절반 크기이며, 전력 소비량은 약 400 W, 무게는 약 30kg이다. 이 복원품은 현재 독일 휜펠트의 콘라트 추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호르스트 추세가 2010년에 제작한 Z3 복원품


2008년에 호르스트 추세는 Z3를 혼자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이 작업은 2010년에 완료되어 휜펠트의 콘라트 추세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참조

[1] 서적 Der Computer. Mein Lebenswerk. Springer-Verlag
[2] Wayback Crash! The Story of IT: Zuse http://www.crash-it.[...] 2008-03-18
[3] 서적 Kognitive Strukturen und Steuerungsprobleme der Forschung. Kernphysik und Informatik im Vergleich Schriften des Max-Planck-Instituts für Gesellschaftsforschung Köln
[4] 웹사이트 Kapitel 14 - Die ersten programmierbaren Rechner (i.e. The first programmable computers) http://cs.uni-muenst[...] 2010-06-21
[5] 서적 New perspectives, computer concept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03-14
[6] 문서 1977-compilation by Zuse of people in contact to his computers from 1935 to 1945 http://www.zib.de/zu[...]
[7] 웹사이트 Konrad Zuse und die ETH Zürich http://e-collection.[...] 2011-10-26
[8] 웹사이트 An einem 12. Mai http://www.dhm.de/ga[...]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German Historical Museum) 2012-04-07
[9] 저널 A Symbolic Analysis of Relay and Switching Circuits
[10] 서적 Kognitive Strukturen und Steuerungsprobleme der Forschung. Kernphysik und Informatik im Vergleich Schriften des Max-Planck-Instituts für Gesellschaftsforschung Köln
[11] 문서 "Helmut Schreyer\" at the University of Berlin" http://www.nue.tu-be[...]
[12] 서적 Colossus: The Secrets of Bletchley Park's Codebreaking Computer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저널 How to make Zuse's Z3 a universal computer
[14] 웹사이트 How to Make Zuse's Z3 a Universal Computer http://www.zib.de/zu[...] 2012-04-07
[15] 문서 절대량으로
[16] 문서 예를 들어
[17] 문서 정확하게
[18] 뉴스 A Computer Pioneer Rediscovered, 50 Years On http://www.nytimes.c[...] 1994-04-20
[19] 서적 Der Computer. Mein Lebenswerk. Springer-Verlag
[20] 저널 Featured Photographs: Konrad Zuse, Z1 and Z3 computers http://www.cbi.umn.e[...] 2007-Spring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rash-it.[...] 2008-03-18
[22] 서적 Kognitive Strukturen und Steuerungsprobleme der Forschung. Kernphysik und Informatik im Vergleich Schriften des Max-Planck-Instituts für Gesellschaftsforschung Köln
[23] 문서 Z3 Computer (1938-1941) http://www.computerm[...]
[24] 저널 How to make Zuse's Z3 a universal computer
[25] 웹인용 How to Make Zuse's Z3 a Universal Computer http://www.inf.fu-be[...]
[26] 문서 RTD Net http://www.rtd-net.d[...]
[27] 문서 GermanWay http://www.german-wa[...]
[28] 문서 Monsters & Critics http://www.monstersa[...]
[29] 문서 About.com http://inventors.a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